스타트업
-
[목차] 기업가치평가에 관하여투자/기업가치평가 2025. 4. 14. 19:30
1. 가치평가의 기초 개념기업가치 vs 지분가치 구분절대가치 vs 상대가치 개념 정리가치평가가 실제 사용되는 상황 (M&A, 투자유치, IPO 등)2. 전통적 기업가치 평가 방식2-1. DCF(Discounted Cash Flow) 방법론의 이해와 적용FCFF vs FCFE할인율(WACC, Ke)Terminal Value장점과 한계2-2. PER, PBR, EV/EBITDA 등 상대가치평가의 실제 적용법멀티플 개념과 활용비교 기업 선정적용시 주의사항2-3. NAV 방식과 자산기반 평가법순자산가치 개념업종별 활용사례자산평가 시 유의점2-4. LBO 가치평가: 차입매수 시나리오 분석LBO 구조자본구조 설계수익률(IRR) 산출 방식2-5. 비상장기업 vs 상장기업 가치평가 차이유동성 할인소수지분 할인실무 적용..
-
3-1. 스타트업 가치평가가 어려운 이유투자/기업가치평가 2025. 4. 8. 08:00
3. 스타트업과 벤처투자 가치평가3-1. 스타트업 가치평가가 어려운 이유스타트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일은 전통적 방식보다 훨씬 복잡하고 불확실하다.이익도 없고, 자산도 부족하며, 사업모델조차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 회사가 얼마짜리인가’를 따지는 건수학보다는 스토리텔링에 가까운 작업이 되기 쉽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벤처투자에서는 반드시 가치평가가 이뤄진다.투자 지분율을 정하고, 향후 수익률을 계산하고, 투자자와 창업자가 서로 협상하기 위해서다.스타트업 가치평가가 어려운 이유는 측정 불가능한 것들을 수치화하려는 시도 자체에서 시작된다.재무제표에 기반한 분석이 불가능하다스타트업의 대부분은 초기 단계에 이익은커녕 매출도 미미하다.심지어 재무제표조차 제대로 작성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전통적 가치평가 방식인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