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목차] 기업가치평가에 관하여
    투자/기업가치평가 2025. 4. 14. 19:30

    1. 가치평가의 기초 개념

    • 기업가치 vs 지분가치 구분
    • 절대가치 vs 상대가치 개념 정리
    • 가치평가가 실제 사용되는 상황 (M&A, 투자유치, IPO 등)

    2. 전통적 기업가치 평가 방식

    2-1. DCF(Discounted Cash Flow) 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 FCFF vs FCFE
    • 할인율(WACC, Ke)
    • Terminal Value
    • 장점과 한계

    2-2. PER, PBR, EV/EBITDA 등 상대가치평가의 실제 적용법

    • 멀티플 개념과 활용
    • 비교 기업 선정
    • 적용시 주의사항

    2-3. NAV 방식과 자산기반 평가법

    • 순자산가치 개념
    • 업종별 활용사례
    • 자산평가 시 유의점

    2-4. LBO 가치평가: 차입매수 시나리오 분석

    • LBO 구조
    • 자본구조 설계
    • 수익률(IRR) 산출 방식

    2-5. 비상장기업 vs 상장기업 가치평가 차이

    • 유동성 할인
    • 소수지분 할인
    • 실무 적용 방식

    3. 스타트업과 벤처투자 가치평가

    3-1. 스타트업 가치평가가 어려운 이유

    • 재무데이터 부재
    • 미래 성장성 중심 평가

    3-2. Pre-money / Post-money, 희석 개념의 이해

    • 지분 희석 구조
    • SAFE, RCPS 영향

    3-3. SAFE 투자 구조 완전 해부

    • SAFE 개념
    • Valuation Cap, Discount, MFN 조항

    3-4. 스타트업에서 사용하는 주요 가치평가 방식

    • Scorecard Method
    • Berkus Method
    • VC Method
    • Risk Factor Summation

    3-5. 국내 스타트업 투자 실무에서의 활용 사례

    • 국내 투자구조 특징
    • 밸류 산정 방식
    • 계약 조건 설계

    4. 실전 분석과 확장 주제

    4-1. 실리콘밸리 및 국내 유니콘 가치평가 사례

    • 글로벌/국내 투자 밸류 비교
    • 라운드별 밸류 상승 구조

    4-2. ESG 요소가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할인율 조정
    • 멀티플 반영
    • 산업별 영향 차이

    4-3. 금리와 매크로 환경이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

    • 금리와 할인율 관계
    • 멀티플 축소 패턴
    • 실무적 적용 방식

    4-4. SaaS 기업, 플랫폼 기업 등 특수 기업 가치평가

    • SaaS 핵심 지표(ARR, NRR, Rule of 40)
    • 플랫폼 기업 지표(GMV, DAU, ARPU)

    5. 투자자 관점에서 본 기업가치 평가

    5-1. 싸다는 건 무엇인가? 가격 vs 가치

    • 가격과 가치의 구분
    • 실무적 '싸다'의 의미

    5-2. VC와 리테일 투자자의 시각 차이

    • Exit 중심 vs 보유 중심 투자
    • 기업가치 해석 방식 차이

    5-3. 가치 거품 논쟁과 가치 재평가의 실제 사례

    • 글로벌/국내 거품 붕괴 사례
    • 밸류 리셋 패턴
    • 투자전략 관점 정리
Designed by Tistory.